오늘 배운 건 오늘 정리하자.

영국 잉글랜드의 이튼 칼리지를 구경하던 한 관광객이 이렇게 완벽한 잔디밭을 어떻게 만들 수 있는지 정원사에게 물었다. 정원사는 “그건 쉬워요.” 라고 대답했다. “매일 아침 이슬을 털어주고, 이틀에 한 번 잔디를 깎아주고, 일주일에 한 번 잔디밭을 골라주면 되지요." “그게 다에요?” 관광객은 물었다. “그게 답니다.” 정원사는 대답했다. “그렇게 500년만 하시면 당신 잔디밭도 이 정도로 괜찮아질 겁니다.”

[git] git을 시작할 때 알아야 할 것들

(더 추가예정) git 코딩할 때 단순히 ctrl + z 를 눌러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시점마다 깃발을 꽂고(버전을 만들고) 이들 간에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ㅆ다. 내가 만든 버전 뿐 아니라 동료가 만든 내 버전으로 이동할 수 있고, 동료와 내 버전을 비교해서 최신본으로 코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. git은 cli와 gui로 이용 가능하다. git에 코드를 올리는 단계 저장소 만들기 -> 초기화(로컬 저장소 생성) -> github 주소를 로컬 저장소에 알려주기 -> 올리길 원하는 것만 선택 -> 선택한 파일들을 한 덩어리로 만들기(커밋) -> 덩어리에 이름 붙여주기 -> 덩어리를 깃허브에 올리기 로컬 저장소는 git이 관리하는 세 그루의 나무로 구성되어 있다....

December 19, 2021 · 2 min · Me

[javascript] 객체

객체의 선언과 호출 객체는 하나의 이름에 여러 종류의 값을 넣을 수 있게 해준다. const yeji = { name: '황예지', age: 22, position: 'leader' }; const ryujin = { name: '신류진', age: 21, position: 'center' }; console.log(yeji.name); // return 황예지 console.log(yeji.age); // return 22 console.log(ryujin.position); // return center yeji라는 객체에 name이라는 값이 존재하듯이, console.log()는 console이라는 객체에 log라는 함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. 객체 비구조화 할당(객체 구조 분해) yeji 내부의 값을 조회할 때마다 yeji....

December 19, 2021 · 1 min · Me

[web] web에 대해서

웹 인터넷을 한다는 것은 웹문서를 주고받는다는 것이다. AAA.txt AAA.png AAA.hwp 등의 문서가 있듯이, 웹에서는 naver/index.html이라는 문서를 작성하는데 거대한 네이버라는 웹사이트도 결국 html이라는 문법으로 작성된 텍스트 문서일 뿐이다. 이 문서를 인터넷을 통하여 컴퓨터와 컴퓨터가 주고받는 공간이 웹이다. HTTP 사실 인터넷이라는 것은 하나의 화면을 로드하는 것이다. 즉, 인터넷을 통해 html을 주고받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. 그 웹문서를 주고받는 통신에 대한 규약이 http프로토콜이다.(TCP라는 단방향통신을 발전시킨 것) - 프로토콜이란 서로 다른 컴퓨터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통신규약을 말한다....

December 19, 2021 · 2 min · Me